728x90
SMALL
🧠 제논의 역설 (Zeno’s Paradoxes)
"운동은 불가능하다?"
무한히 나눌 수 있다면, 우리는 절대 목적지에 도달할 수 없다?
🏛️ 배경
- 고대 그리스 철학자 **제논(Zeno of Elea)**이 제시한 운동과 무한에 대한 역설들
- 총 9개쯤 알려져 있지만, 그중 특히 유명한 건 아래 두 개!
🐢 1. 아킬레우스와 거북이
"아킬레우스는 거북이를 절대 따라잡을 수 없다?"
설정:
- 거북이는 아킬레우스보다 느리지만 먼저 출발함
- 아킬레우스가 출발했을 때, 거북이는 앞서 있음
논리:
- 아킬레우스가 거북이 출발 지점까지 가는 동안,
거북이는 조금 더 앞으로 감 - 그 지점까지 아킬레우스가 또 가는 동안,
거북이는 또 조금 앞으로 감 - 이 과정을 무한히 반복하게 됨
→ 무한히 나아가야 하니, 절대 따라잡을 수 없다!?
🙃 직관적으로는 말이 안 되지만,
당시에는 **무한히 나누는 개념(극한)**이 없었기 때문에 받아들이기 어려웠던 주장
🏃♂️ 2. 이분법 역설 (Dichotomy Paradox)
“목적지까지 가기 위해선 그 절반을 가야 하고, 그 절반의 절반도 가야 하고…”
논리:
- A지점에서 B지점으로 가려면,
- 먼저 절반 거리를 가야 함
- 또 절반의 절반을 가야 함
- 또 또 또… 무한히 나눌 수 있음
→ 무한히 많은 거리를 이동해야 하므로 도달 불가?!
🙃 하지만 우리가 실제로는 도달하고 있음!
🤓 현대 수학의 반응: 극한(Limit) 개념
제논이 빠진 핵심은 바로 극한 개념!
예:
1/2 + 1/4 + 1/8 + 1/16 + ... = 1
- 무한히 더해도 유한한 값에 수렴할 수 있음
- 따라서, 무한한 과정 ≠ 무한한 시간 or 거리
👉 우리는 무한한 과정을 유한 시간에 끝낼 수 있다!
🧾 Pseudocode: 이분법 역설 시뮬레이션
plaintext
복사편집
Function reach_target(distance): total = 0 step = distance / 2 While step is greater than a small threshold: total += step step /= 2 return total
🐍 Python 코드: 극한으로 도달 시뮬레이션
def reach_target(distance=1.0, threshold=1e-10):
total = 0
step = distance / 2
steps = 0
while step > threshold:
total += step
step /= 2
steps += 1
print(f"Step {steps}: Total moved = {total:.10f}, next step = {step:.10f}")
print(f"\nTotal distance reached: {total:.10f} after {steps} steps")
# 실행
reach_target()
total = 0
step = distance / 2
steps = 0
while step > threshold:
total += step
step /= 2
steps += 1
print(f"Step {steps}: Total moved = {total:.10f}, next step = {step:.10f}")
print(f"\nTotal distance reached: {total:.10f} after {steps} steps")
# 실행
reach_target()
💡 실행 결과 예시
Step 1: Total moved = 0.5000000000, next step = 0.2500000000
Step 2: Total moved = 0.7500000000, next step = 0.1250000000
...
Step 33: Total moved = 0.9999999995, next step = 0.0000000002
Total distance reached: 0.9999999995 after 33 steps
Step 2: Total moved = 0.7500000000, next step = 0.1250000000
...
Step 33: Total moved = 0.9999999995, next step = 0.0000000002
Total distance reached: 0.9999999995 after 33 steps
→ 이론적으론 무한히 나누지만, 현실/컴퓨터에서는 33번 반복으로 거의 1에 도달!
→ 이것이 바로 제논의 역설을 해결하는 수학적 극한의 힘
🌀 요약 정리
항목설명
제논의 역설 | 무한 분할로 인한 도달 불가능 주장 |
반박 방법 | 극한(Limit) 개념 도입 |
핵심 메시지 | 무한한 과정도 유한한 결과로 수렴할 수 있음 |
철학적 의미 | 직관이 틀릴 수 있고, 수학이 세상을 정리하는 방식 |
728x90
LIST
'개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알고리즘] Monty Hall Problem (몬티 홀 문제) (0) | 2025.04.20 |
---|---|
[알고리즘] Ramanujan–Hardy Number (라마누잔–하디의 수: 1729) (0) | 2025.04.18 |
[알고리즘] 완전수(perfect number) 개념과 코드 (0) | 2025.04.12 |
갑자기 느려진 PC! 나몰래 설치된 코인 채굴기 체크하고 삭제하기 (0) | 2024.08.28 |
저작권 걱정 없는 무료 이미지 영상 음악 효과음 다운받는 사이트 (0) | 2024.07.31 |